Add parallel Print Page Options

약속이 중요하다

27 주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하여라. 너는 그들에게 이렇게 일러라.

‘누구든지 주께 사람을 드리기로 특별히 맹세하고 그 사람의 값에 해당하는 돈을 바치려는 사람은 이렇게 하여라. 스무 살에서 예순 살 사이의 남자는 성소에서 쓰는 단위[a]로 은 오십 세겔[b]을 바쳐야 한다. 스무 살에서 예순 살 사이의 여자는 은 삼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다섯 살에서 스무 살 사이의 남자는 이십 세겔, 여자는 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난 지 한 달 된 아기에서 다섯 살까지의 어린이라면 남자아이는 오 세겔, 여자아이는 삼 세겔을 바쳐야 한다. 예순 살이 넘는 남자는 십오 세겔, 여자는 십 세겔을 바쳐야 한다.

그러나 약속한 사람이 너무 가난하여 정해진 값을 치를 수 없으면 그가 주께 바치기로 한 사람을 제사장에게 데려 와야 한다. 그러면 제사장이 맹세한 사람의 형편에 따라 값을 정해 주어라.

주께 바치는 제물

그가 맹세한 것이 주께 제물로 바칠 수 있는 짐승이면 주께 바치기로 한 그것은, 곧 거룩한 것이 된다. 10 그러므로 바치기로 맹세한 짐승을 바꿀 수 없다. 좋은 것을 나쁜 것으로 바꿀 수도 없고 나쁜 것을 좋은 것으로 바꿀 수도 없다. 만약 어쩌다가 바꾸게 되면 처음 것과 바꾼 것 둘 다 거룩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둘 다 주께 바쳐야 한다.

11 만약 바치기로 한 것이 주께 드릴 수 없는 부정한 짐승이면 그 짐승을 제사장에게 가져와야 한다. 12 제사장은 그 짐승이 좋은지 나쁜지 그 질을 판정하여야 한다. 제사장이 값을 얼마로 매기든지 그것이 그 짐승의 값이 된다. 13 짐승의 주인이 그 짐승을 무르고 싶으면[c], 그는 제사장이 매겨 준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집의 가치

14 누구든지 자기 집을 주께 바쳐 거룩하게 하려면 제사장이 그 집이 좋은지 나쁜지 판정을 내려 값을 매겨야 한다. 제사장이 값을 얼마로 매기든지 그것이 그대로 집값이 된다. 15 만약 집을 바치기로 했던 사람이 그것을 무르고 싶으면 제사장이 정해준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그러면 그 집이 다시 그의 것이 된다.

땅의 가치

16 어떤 사람이 유산으로 물려받은 땅의 일부를 거룩하게 구별하여 주께 바치려고 하면, 그 땅에 얼마나 많은 씨앗을 뿌릴 수 있느냐에 따라 그 값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보리 씨앗 일 호멜[d]을 뿌릴 수 있으면 그 땅값은 오십 세겔이다. 17 그 사람이 희년[e]에 그의 땅을 바치려 하면 제사장이 정해준 대로 가격을 치면 된다. 18 그러나 희년이 지난 다음에 땅을 바치려 하면 제사장은 다음 희년까지 남은 햇수에 따라 땅값을 매겨야 한다. 그러므로 처음 정한 값보다는 적게 매기게 될 것이다. 19 만약 땅을 바친 사람이 땅을 무르고 싶으면 땅값에 은으로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물러야 한다. 그러면 그 땅이 다시 그의 것이 된다. 20 그러나 그가 그 땅을 무르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팔면 그는 더 이상 그 땅을 되살 수 없다. 21 희년이 되어 그 땅이 풀리면 그 땅은 완전히 주께 바친[f] 거룩한 땅과 같이 되어 영원히 제사장들의 재산이 된다.

22 어떤 사람이 유산으로 물려받은 땅이 아니라 남에게서 사들인 땅을 주께 거룩하게 바칠 수 있을 것이다. 23 제사장은 희년까지 남은 햇수를 계산하여 그 값을 매겨야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은 그날로 매겨진 값을 주께 거룩한 것으로 바쳐야 한다. 24 그러다가 희년이 되면 그 땅은 원래 그 땅의 주인이었던 사람, 곧 처음 그 땅을 판 사람에게 되돌아간다.

25 앞에서 말한 모든 값은 성소에서 쓰는 단위에 따라 이십 게라[g]를 일 세겔로 계산하여 매겨야 한다.

동물의 가치

26 짐승의 처음 난 새끼는 이미 주의 것이기 때문에 다시 거룩하게 바치지 않아도 된다. 그것이 소이든 양이든 이미 주의 것이다. 27 그러나 부정한 짐승이 처음 낳은 새끼는 그 주인이 무를 수 있다. 그러려면 정해진 값에 오분의 일을 더 보태서 내야 한다. 그러나 주인이 그것을 무르지 않으면 그 짐승은 매겨진 값에 팔아야 한다.

특별히 바치는 제물

28 사람이 자기가 가진 것 가운데서 완전히 주께 바친 예물은, 그것이 사람이든 짐승이든 아니면 물려받은 땅이든 팔 수 없다. 그리고 다시 무를 수도 없다. 그렇게 바친 것은 주께 지극히 거룩한 것이다. 29 주께 완전히 바친 것이 사람이면 그 사람은 무를 수 없다. 그 사람은 죽여야 한다.

30 밭에서 나는 곡식이든 나무에 열린 열매든 땅에서 나는 것의 십분의 일은 주의 것이다. 그것은 주께 바쳐야 할 거룩한 것이다. 31 누가 그 십분의 일을 꼭 무르려면 그는 그 값에 오분의 일을 더 얹어서 내야 한다.

32 소 떼나 양 떼에서도 각각 십분의 일을 주께 바쳐야 한다. 목자의 지팡이 밑으로 짐승을 지나가게 하여 열 번째 것마다 주께 바쳐야 한다. 33 나쁜 것들 가운데서 좋은 것을 골라내거나 바꿔치기를 해서는 안 된다. 만약 그가 바꿔치기를 하면 처음 것과 바꿔치기한 것 둘 다 주께 바친 거룩한 것이 되어 둘 다 무를 수 없다.’”

34 이 것이 주께서 시내 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라고 모세에게 내리신 명령들이다.

Footnotes

  1. 27:3 성소에서 쓰는 단위 성막이나 성전에서 제사장들이 쓰는 기본 단위. 25절
  2. 27:3 세겔 1세겔은 11.5그램. 16절
  3. 27:13 그 짐승을 무르고 싶으면 맏아들이나 처음 난 짐승을 주께 바치거나 무를 때 지켜야 할 규정을 알려면 출 13:1-16을 볼 것.
  4. 27:16 일 호멜 1호멜은 내용물이 말랐을 때의 부피로 2 리터이다.
  5. 27:17 희년 25:8-13을 볼 것.
  6. 27:21 완전히 주께 바친 곧 ‘주의 것으로 따로 떼어 놓은’. 거룩한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은 주께 바쳐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수 6:19) 28절
  7. 27:25 게라 1게라는 0.6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