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parallel Print Page Options

그리스도 예수를 위해 감옥에 갇힌 나 바울과 우리의 형제 디모데가 이 편지를 씁니다. 우리의 사랑하는 친구이며 우리와 같이 일하는 빌레몬과, 그대의 집에서 모이는 교회의 여러분과 우리 자매 압비아와, 우리 전우 아킵보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우리 아버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려 주시는 은혜와 평화가 여러분에게 있기를 빕니다.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

나는 그대를 위하여 기도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대가 주 예수를 잘 믿고 모든 성도를 사랑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대가 믿음에서 우러나 다른 믿는 이들과 활발하게 사귀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 사귐을 통하여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고 있는 온갖 좋은 것을 더욱 잘 알게 되기를 빕니다. 나는 사랑하는 그대가 성도들에게 사랑을 베풀어 그들의 마음에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소식이 내게 큰 기쁨과 위로를 안겨 주었습니다.

오네시모를 형제처럼 받아들여라

나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대담하게 명령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대의 사랑에 힘입어 그대에게 간곡하게 부탁합니다. 이미 늙고, 지금은 그리스도 예수를 위해서 감옥에 갇힌 몸인 나 바울이 부탁합니다. 10 내가 감옥에 있는 동안에 얻은 아들 오네시모를 위하여 그대에게 부탁합니다. 11 그가 전에는 그대에게 쓸모없는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그대뿐 아니라 내게도 쓸모 있는[a] 사람이 되었습니다.

12 나는 그를 그대에게 돌려보냅니다. 그를 보내는 것은 내 심장을 떼어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13 나는 그를 내 곁에 두고, 내가 기쁜 소식을 위하여 감옥살이를 하는 동안 그대를 대신하여 내 시중을 들게 하고도 싶었습니다. 14 그러나 나는 그대의 승낙 없이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대가 하는 좋은 일이 마지못해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기뻐서 하는 것이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15 그가 잠시 그대 곁을 떠나 있었던 것은, 어쩌면 그가 그대에게 돌아가 영원히 그대 곁에 있게 하려는 것이었는지도 모릅니다. 16 이제부터 그는 종으로서가 아니라 종 이상으로 곧 사랑하는 형제로서 그대와 같이 있게 될 것입니다. 그는 나에게 아주 귀중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는 한 사람으로서나 주 안에서 한 형제로서나, 나보다 그대에게 얼마나 더 귀중한 사람이겠습니까!

17 그대가 나를 같은 일을 하는 동지라고 생각한다면, 나를 반기듯이 그를 반갑게 맞아 주십시오. 18 그리고 만일 그가 그대에게 무슨 손해를 끼치거나 빚진 것이 있다면, 그것을 내 앞으로 달아 놓으십시오. 19 “나 바울이 그것을 갚겠다.” 라고 내 손으로 이렇게 직접 씁니다. 그대가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으로 살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내게 빚을 진 것이지만, 나는 그 빚에 대해서 아무 말도 하지 않겠습니다. 20 형제여, 나는 주님 안에서 그대에게 도움[b]을 청하려고 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내 마음에 새로운 힘을 불어넣어 주십시오. 21 그대가 내 청을 들어 주리라 굳게 믿기에 이 편지를 씁니다. 나는 그대가, 내가 청하는 것 이상으로 해 주리라는 것을 압니다.

22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부탁합니다. 내가 묵을 방을 하나 마련해 주십시오. 하나님께서 여러분의 기도를 들으시고 나를 여러분에게 보내 주시기를 바랍니다.

마지막 인사

23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와 함께 갇혀 있는 에바브라가 그대에게 문안합니다. 24 그리고 나와 함께 일하는 마가와 아리스다고와 데마와 누가도 그대에게 문안합니다.

25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여러분의 영과 함께하시기를 빕니다.

Footnotes

  1. 1:11 쓸모 있는 여기서 바울은 재치 있는 말놀이를 하고 있다. ‘오네시모’ 라는 이름에는 ‘쓸모 있는’ 또는 ‘도움이 되는’ 이라는 뜻도 있다. 또한 그리스어에서 ‘쓸모없는’ 이라는 말은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닌’ ‘그리스도가 없는’ 이라는 말과 비슷하게 들리고, 여기서 ‘쓸모 있는’ 이라는 말은 ‘좋은 그리스도교 신자’ 라는 말과 비슷하게 들린다.
  2. 1:20 도움 바울은 여기서 또 한 번 ‘오네시모’ 라는 이름을 가지고 재치 있는 말놀이를 하고 있다. ‘오네시모’ 에는 ‘도움이 되는’ ‘쓸모 있는’ 이라는 뜻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