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parallel Print Page Options

가나안에서 어떤 전쟁도 겪어 본 일이 없는 이스라엘 백성을 시험해 보시려고 주께서 남겨 놓으신 민족들은 다음과 같다. (그것은 오직 전쟁을 해 본 일이 없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쟁이 어떤 것인지 가르쳐 알게 하시려고 하신 일이다.) 그들은 블레셋의 다섯 왕과 모든 가나안 사람과 시돈 사람과 히위 사람이다. 히위 사람은 바알헤르몬 산에서 르보 하맛[a]에까지 이르는 레바논 산 아래에 사는 사람들이다. 이들을 그 땅에 남겨두신 까닭은, 이스라엘 백성이 주께서 모세를 통하여 그들의 조상에게 내리신 명령에 순종하는지 시험해 보시려는 것이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사람과 헷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 가운데서 살았다. 이스라엘 백성은 그들의 딸을 데려다가 아내로 삼고 자기네 딸들을 그들의 아들에게 주었으며 그들의 신들을 섬겼다.

첫 번째 사사 옷니엘

이스라엘 백성이 주께서 보시기에 악한 짓을 하였다. 그들은 주 그들의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바알과 아세라를 섬겼다. 주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크게 노하시어, 아람나하라임[b]의 왕 구산리사다임의 손에 그들을 팔아 넘기셨으므로, 그들이 팔 년 동안 그 왕을 섬겼다. 그러나 그들이 주께 울부짖자 주께서 그들을 위해 한 구원자를 일으키셨다. 그가 곧 갈렙의 동생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다. 10 주의 영이 그에게 내리시니, 그가 이스라엘 백성의 사사가 되어 그들을 이끌고 전쟁에 나갔다. 주께서 아람 왕 구산리사다임을 옷니엘의 손에 넘기시니 옷니엘이 아람 왕 구산리사다임을 치고 승리를 거두었다. 11 그리하여 그 땅에는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 죽을 때까지 사십 년 동안 평화가 깃들였다.

사사 에훗

12 이스라엘 백성이 다시 주께서 보시기에 악한 일을 저질렀다. 그들이 이렇게 악한 짓을 하였으므로, 주께서 모압 왕 에글론에게 이스라엘을 누를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힘을 주셨다. 13 에글론 왕이 암몬 사람과 아말렉 사람을 불러 함께 이스라엘 백성을 쳐부수고 종려나무 성 여리고를 점령하였다. 14 이스라엘 백성은 모압 왕 에글론을 십팔 년 동안 섬겼다.

15 이스라엘 백성이 주께 울부짖으니 주께서 그들에게 한 구원자를 보내셨다. 그가 베냐민 사람 게라의 아들인 에훗으로 그는 왼손으로 싸움을 할 수 있도록 훈련 받은 사람이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왕 에글론에게 바치는 조공을 에훗에게 주어 보냈다. 16 에훗은 한 고메드[c] 되는 쌍날 비수를 만들어 오른쪽 넓적다리 옷 밑에 붙들어 매었다.

17 에훗은 모압 왕 에글론에게 조공을 가지고 가서 바쳤다. 에글론은 아주 뚱뚱한 사람이었다. 18 에훗은 선물을 바친 다음 선물을 지고 갔던 사람들을 돌려보냈다. 19 그러나 자신은 길갈 가까이 석상들[d]이 있는 곳에서 발길을 돌려 왕궁으로 되돌아갔다.

그는 다시 왕에게 나아가 말하였다. “임금님, 임금님께 은밀히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왕이 에훗에게 말하였다. “조용히 하라.” 그러자 왕을 모시고 있던 사람들이 모두 방에서 나갔다.

20 에훗은 에글론 왕에게 다가갔다. 그 때 왕은 지붕 밑에 있는 방에 있었는데, 그 방 안에는 높은 단이 있고, 그 위에 왕좌가 놓여있었다. 왕은 혼자 앉아 있었다. 에훗이 말하였다. “임금님께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 드리러 왔습니다.” 왕이 자리에서 일어나자 21 에훗은 왼손을 뻗어 그의 오른쪽 넓적다리에 매어 두었던 칼을 뽑아 왕의 배를 찔렀다. 22 얼마나 깊이 찔렀던지 칼자루까지 칼날을 따라 들어가 배에 박혔고, 칼끝은 등 뒤로 나왔다. 에훗이 그 칼을 빼지 않았으므로 기름기가 칼에 엉겨 붙었다. 그리고 배설물이 밖으로 흘러 나왔다.

23 에훗은 용상이 있는 방의 문들을 모두 안으로 잠갔다. 그런 다음 마루바닥에 있는 화장실 구멍을 통해 그 아래에 있는 숨겨진 방[e] 을 이용해 빠져나갔다.

24 에훗이 떠난 다음 에글론의 신하들이 와서 보니 높이 놓인 용상방으로 통하는 문들이 잠겨 있었다. 그들은 “아마도 임금님께 화장실에서 볼 일을 보고 계시는가 보다.”라고 생각하였다. 25 아무리 기다려도 왕이 문을 열지 않자 신하들은 걱정이 되었다. 그리하여 열쇠로 문을 열어 보니 그들의 왕이 죽어 바닥에 누워 있었다.

26 신하들이 방 밖에서 기다리는 동안 에훗은 도망쳤다. 그는 석상들이 서 있는 곳을 지나 스이라에 이르렀다. 27 그가 그곳에 이르러 에브라임 산간지방에서 소집 나팔을 불자 이스라엘 백성이 그를 따라 산간지방에서 쳐내려갔다. 에훗이 앞장서서 그들을 이끌었다.

28 에훗이 그들에게 명하였다. “나를 따르라. 주께서 너희의 적 모압을 너희 손에 붙이셨다.” 그러자 그들이 에훗을 따라 내려가서 모압 땅으로 가는 요단 강 나루를 점령하고 한 사람도 건너가지 못하게 하였다. 29 그 때에 그들이 죽인 모압 사람의 수는 모두 만 명쯤이었는데, 그들은 모두 건장하고 용맹스러운 군인들이었다. 모압 사람은 단 한 사람도 도망가지 못하였다. 30 그 날로 모압은 이스라엘의 통치를 받기 시작하여, 그 뒤 팔십 년 동안 그 땅에 평화가 깃들였다.

지도자 삼갈

31 에훗 다음에는 아낫[f]의 아들 삼갈이 일어나 이스라엘을 구해 주었다. 그는 소를 모는 막대기로 블레셋 사람 육백 명을 죽였다.

Footnotes

  1. 3:3 르보 하맛 또는 ‘하맛 어귀’
  2. 3:8 아람나하라임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북 시리아
  3. 3:16 한 고메드 히브리어 ‘고메드’는 알려지지 않은 단위이다. 아마 25-30센티미터쯤 되는 길이었을 것이다.
  4. 3:19 석상들 아마도 성읍을 지켜 달라고 성읍 어귀에서 세운 신이나 동물 모양의 상들이었을 것이다. 26절
  5. 3:23 숨겨진 방 이 말의 뜻은 분명하지 않다. 왕의 보좌가 있는 방은 가로 들보 위에 높이 들린 단 위에 있고, 그 방에는 왕의 개인용 화장실이 있어, 대소변은 단 아래에 있는 공간으로 떨어지게 되어 있었을 것이다. 에훗은 왕의 방으로 들어가는 문들을 안에서 잠근 다음, 마루바닥에 있는 구멍을 통해 그 밑에 있는 공간으로 내려갔음이 분명하다. 그런 다음 그는 알현실로 들어가 아무런 의심도 불러일으키지 않고 왕궁을 떠날 수 있었을 것이다.
  6. 3:31 아낫 가나안 사람들이 섬기던 전쟁 여신의 이름. 여기서는 ‘아낫’이 삼갈의 아버지나 어머니의 이름일 수도 있고 또는 ‘위대한 용사 삼갈’ 또는 ‘아낫 성읍 출신의 삼갈’이라는 뜻일 수도 있다.